본문 바로가기

품질관리

[제7장]사내표준화(2)

반응형

품질이란??

(ISO9000) 제품 또는 서비스가 고객의 명시적 혹은 묵시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능력에 관계되는 특성의 총체이다.


고객만족 제품의 품질 특성

1. 성능 - 제품의 본질적인 운용특성

2. 기능특징 - 제품의 본질적 성능의 사용을 손쉽게 하는 보조특성

3. 적합품질 - 제품의 품질특성이 사전에 설정 또는 제시된 기초적 표준과 일치하는 정도

4. 신뢰성(고장) - 정해진 조건하에서 정해진 기간동안 요구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제품의 능력

5. 내구성(수명) - 기술적 또는 경제적 측면에서 제품의 수명

6. 편의성 - 서비스의 접근성, 신속성, 수선능력, 수선의 친절도 등 고장시의 대응 정도

7. 심미적 특성 - 제품의 디자인, 색상, 크기, 소리, 맛, 냄새 및 촉감 등 인간의 5감에 의한 평가 정도

8. 지각품질 - 이미지, 광고, 상표명성에 의해 추정된 제품에 댛ㄴ 호감 또는 평판의 정도


FMEA(Failure Mode & Effect Analysis)

: 제품/공정의 잠재적 고장 형태와 그 영향을 조사/평가함으로써 고장 발생 기회를 제거하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분석적 기법


FMEA의 특징

1. 잠재고장 형태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고장을 사전에 예방 가능하다.

2. 설계변경 시 기존 제품이나 공정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3. 제품 또는 공정의 중점관리 대상을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한다.

4. 고장 검출 방법 및 시스템 성능을 모니터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5. 유사시스템 설계 시 결함에 대한 노하우가 축적된다.


관리계획서

: 공정의 요인조건과 결과로서 품질특성을 공정에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관리하면 되는 것인가를 공정의 흐름에 따라서 정리하고 이것을 공정관리에 적용하고자 만든 도표로서 시스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을 QC공정도라고도 하며 작업자중심, 자재중심, 공정관리중심, 제품중심으로 표현한다.


- 고객을 위하여 제품,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공정을 관리하기 위한 생산 시스템의 공정흐름을 시작해서 종료까지 전체적인 공정경로에 대해 기술한 문서이다.

- 대상제품이 제조과정에서 어떻게 관리되는지를 나타내는 살아 숨쉬는 문서이다.

- Multi-Level CFT(Cross Function Team:상호기능팀)에 의해 개발된다


관리계획서의 목적

- 관리이탈 공정에 대한 조치사항을 결정

- 생산된 제품과 공정의 변동을 최소화 하기 위해 사용되어진 시스템에 대한 메뉴얼화

- 제품과 공정이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들을 정의


관리계획 수립의 Key-Point

1. 실제적일 것.

2. 현재의 관리방법을 반영할 것.

3. 현재 사용되는 측정방법일 것.

4. 품질시스템으로 통합할 것.

5. 여러 기능을 통합하는 핵심 팀에서 개발 할 것.

6. 재료. 반제품, 완제품에 대한 핵심품질특성을 포함 할 것.


[제7장]사내표준화(1)


반응형

'품질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8장]문제해결및개선사항  (0) 2018.05.21
[제7장]사내표준화(3)  (0) 2018.05.20
[제7장]사내표준화(1)  (0) 2018.05.17
[제6장]품질검사  (0) 2018.05.15
[제5장]품질보증(2)  (0) 2018.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