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제11장]6시그마(2) 2. 측정(Measure): Measure단계는 Define단계에서 도출된, 과제의 CTQ를 가장 잘 대변할 수 있는 측정 가능한 지표 CTQ(Y)를 정의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프로세스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 과제 성과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4)CTQ(Y)선정CTQ(Y)읠 필요성- 현재수준과 기대되는 성과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에 개선 노력을 집중하기 위해서 Precess가 얼마나 고객의 ㅛ구를 잘 만족시키는 가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cess 내부에서 원인과 결과의 관계, 즉 Y=f(x`s)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이해하여 무엇이, 어디서, 왜, 얼마나 많이 변화하는 지를 알기 위함이다. CTQ(Y)는 CTQ를 대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5)측정시스템분석(MSA): 측정시스.. 더보기
[제11장]6시그마 σ(sigma)- Sigma는 어떤 공정 또는 절차의 분포(산포)를 의미한다.- Sigma는 공정능력ㅇ르 나타내는 통계적 측정단위이며, 측정된 Sigma값은 DPU(Defect Per Unit), PPM(Parts Per Million)등과 관련 되어 나타난다.- 높은 Sigma값을 갖는 공정이 불량품을 적게 만드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될 수 있다.- Sigma값이 증가 할수록 비용은 줄어지며, Cycle-Time이 짧아지고, 고객만족도는 높아진다. 고객(Customer): 고객관점의 문제를 정의하라.프로세스(Process): 프로세스에서 원인을 찾아라.데이터(Data): 사실과 데이터에 근거해 의사결정 하라.산포(Variance): 프로세스 업무에서 산포는 기업의 적이다.열정(Passion): 사.. 더보기
[제10장]QC Tool활용(3) 신 QC도구의 활용효과1. 지혜, 발상을 내기 쉽게 한다.2. 누략, 탈락을 없애는데 도움이 된다.3. 문제해결에 이르는 수단의 연쇄를 창과 같이 예리하게 독파하는데 도움이 된다.4. 프로세스 관리의 실행을 가능케 한다. 1. 계통도: 계통도란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목적과 수단을 계통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최적의 수단을 탐색하는 방법이다. 즉 목적을 달성하는 최적 수단을 계통적으로 추구해가는 방법이다.- 목적: 1)목적이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단과 방법을 체계적으로 전개하여 문제의 전체에 대한 일관성을 주어 문제의 중점을 명확히 한다. 2)목적이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수단과 방책을 추구한다.- 용도: 1)불량 원인을 해석한다. 2)개선안 수집에 최적 수단을 도출한다. 3)일차적.. 더보기
[제10장]QC Tool활용(2) 4. 체크시트: 체크시트란 불량 수, 결점 수 등 셀 수 있는 데이터(계수형)가 분류항목별 어디에 집중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쉽게 나타낸 그림이나 표이다.- 목적: 체크시트란 매일의 기록용지 구실을 해 준다. 또 기록이 끝난 다음에는 데이터가 어디에 집중하고 있는가를 한눈으로 알 수 있게 해주며 따라서 어디에 대책을 ㅟ해야 할 것인가도 알게 해준다.- 용도: 1)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취해야 하는가를 분명히 하여 불필요한 업무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다. 2)정성적인 언어의 세계에서 수치의 서계로 안내해 준다. 5. 히스토그램: 히스토그램은 계량치 데이터(길이, 무게, 온도 등의 연속 측정치)가 존재하는 범위를 몇 개의 구간으로 들어가는 데이터의 출현 도수를 헤아려서 도수분포표를 만든 다음 이를 막대그래프로.. 더보기
[제10장]QC Tool활용(1) 품질관리의 기본원칙완벽품질(Zero Defect) 추구: 불량은 받지도 말고, 만들지도 말고, 보내지도 말자.첫째, 고객의 불만을 야기시킬 소지가 있는 불량품은 처음부터 만들지 않는다.둘째, 첫번째 원칙을 준수하지 못해 불량품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면 절대로 고객에게 전달하지 않는다.셋째, 두번재 원칙이 무너져 불량품이 고객에게 전달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신속하게 조처해야 한다. ※QC 도구 활용 시 유의사항1. QC도구는 목적달성을 위한 유효한 수단이다.2. 문제의 95%는 간단한 QC도구 활용만으로 해결된다.3. QC 도구의 가치는 사용하는 사람이나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4. 산(生) QC 도구가 되게 하기 위해서는 전원참가에 의한 활용이 필요하다.5. 최종 결과만으로 판단하는 일이 없이 Da.. 더보기
[제9장]품질불량방지(2) 요구품질 향상의 3단계 추진: 요구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3단계로 진행되며 매출액은 고객이 결정하는 사항임을 명시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한 고객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을 이해하고 핵심요구사항을 정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CTQ(특별특성: Critical to Quality): 고객의 입장에서 품질에 치명적인 제품의 특성이나 서비스 및 업무 프로세스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제품이나 프로세스의 품질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CTQ로 정의하고, CTQ 개선을 통하여 품질의 향상을 추구하고 있다. ☆CTQ 선정 방법 - QFD, Pareto, KANO분석 등을 이용하여 영향도(Impact), 인과관계성, 측정가능성, 제어가능성 등의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평가하여.. 더보기
[제9장]품질불량방지(1) 고객 클레임 대책을 위한 예방절차 고객요구의 불충분으로 고객 불만 증대고객불만유형1. 객관적불만: 해당 제품을 통해서 소비자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 함.2. 주관적불만: 해당 제품에 대한 설명 '주관적'은 고객의 주관이 아닌 판매사의 주관대로 흘러간 것에 대한 불만.3. 고의적불만: 가장 악의적인 경우로 고객의 일상생활에서 쌓인 불만을 화풀이 하는 불만.4. 변명: 영업사원에게 대화의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거래를 늦추기 위한 핑계를 대는 경우.5. 과시: 제품에 대해 아는 점이 더 많은 듯이 뽐내기 위해 토로하는 불만.6. 침묵: 말 그대로 아무런 말도 하지 않는 유형으로 가장 대처하기 어려운 유형.7. 거부감: 영업사원/낯선사람의 접근에 대해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거부감.8. 정보요구: 제품이나.. 더보기
[제8장]문제해결및개선사항 공장의 7대 낭비요소1. 과잉생산의 낭비: 불필요한 것을 불필요한 때에 불필요한 만큼 만드는 것.2. 운반의 낭비: 불필요한 운반, 물품의 이동, 보관, 옮겨쌓기 또는 장거리의 운반이나 운반활성도의 악화도 문제.3. 재고의 낭비: 원재료, 부품, 조립품 등이 정체되어 있는 상태로서 창고에 쌓여있는 것 뿐만 아니라 공정에 있는 재공품도 포함.4. 가공 그 자체의 낭비: 원래 불필요한 공정 또는 작업을 마치 필요한 것처럼 생각 되는 것.5. 대기의 낭비: 재료대기, 작업대기, 운반대기, 검사대기 등의 대기와 여유 혹은 감시작업.6. 동작의 낭비: 불필요한 동작,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않는 동작, 느린동작.7. 불량수정의 낭비: 재료불량, 가공불량, 클레임, 수정. 개선활동의 장점자신의 장점 회사의 장점 -매사.. 더보기
[제7장]사내표준화(3) QFD란?: 사용자의 요구를 대용 품질특성으로 전환하고, 완성품의 설계품질을 결정하여 이를 각 기능부품의 품질 및 개별 부품의 품질이나 공정의 요소에 이르기까지 이들간의 관령성을 계통적으로 전개하는 것.Quality(품질) - 고객의 요구사항으로 제품의 품질이나 속성Function(기능) - 제품이나 조직 등 시스템의 수행할 역할Deployment(전개) - 미래의 사용을 위해 퍼뜨리는 것- 고객의 소리를 상품(서비스)의 디자인기준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조직적인 방법- 고객요구가 기업의 전 기능부서에서 실현되도록 보증하는 메커니즘- 피드백 고리를 사용함으로써, 변화되는 고객만족 데이터나 고객요구를 관련된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직접 연계시키고 개선시켜 나가는 접근방법 표준화 추진의 7스탭1. 중점 관리인자 설.. 더보기
[제7장]사내표준화(2) 품질이란??(ISO9000) 제품 또는 서비스가 고객의 명시적 혹은 묵시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능력에 관계되는 특성의 총체이다. 고객만족 제품의 품질 특성1. 성능 - 제품의 본질적인 운용특성2. 기능특징 - 제품의 본질적 성능의 사용을 손쉽게 하는 보조특성3. 적합품질 - 제품의 품질특성이 사전에 설정 또는 제시된 기초적 표준과 일치하는 정도4. 신뢰성(고장) - 정해진 조건하에서 정해진 기간동안 요구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제품의 능력5. 내구성(수명) - 기술적 또는 경제적 측면에서 제품의 수명6. 편의성 - 서비스의 접근성, 신속성, 수선능력, 수선의 친절도 등 고장시의 대응 정도7. 심미적 특성 - 제품의 디자인, 색상, 크기, 소리, 맛, 냄새 및 촉감 등 인간의 5감에 의한 평가 정도8. .. 더보기

반응형